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가지 클라우드 용어 완벽 정리-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by knarchive11 2024. 6. 1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잡은 클라우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구름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분석 등 다양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마치 레고 블록처럼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가져다 쓰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는 편리한 시스템이죠.

과거에는 개인이나 기업이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해야 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이러한 부담을 덜고 비용 절감 효과까지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에 접근하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앞다투어 클라우드로 시스템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10가지 클라우드 용어

클라우드 컴퓨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자 frequently 사용되는 핵심 용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마치 새로운 나라를 여행하기 전에 간단한 여행 회화를 배우는 것처럼, 클라우드 용어를 알아두면 앞으로 만날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거예요!

1. 서버리스(Serverless)

'서버리스'라는 단어를 보면 서버가 없는 기술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서버 없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 관리를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대신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는 서버 관리 부담 없이 코드 작성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버리스 아키텍처에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 효율성이 매우 높습니다.

2. 컨테이너(Container)

택배 배송 시 안전하게 물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컨테이너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라이브러리, 실행 환경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가상화 기술을 통해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컨테이너를 활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일관성 있게 실행하고 배포할 수 있으며, 이식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s)

마이크로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작은 단위의 서비스로 분할하여 개발하는 아키텍처입니다. 각 서비스는 특정 기능을 담당하며 API를 통해 서로 통신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를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개별 서비스를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4. 쿠버네티스(Kubernetes)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확장 및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컨테이너 orchestration 시스템이라고도 불립니다. 쿠버네티스는 Google에서 개발되어 현재는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CNCF)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에서 컨테이너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5.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엣지 컴퓨팅은 데이터가 생성되는 곳과 가까운 곳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컴퓨팅 방식입니다.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가 생성되는 엣지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고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스마트 팩토리, IoT 기기 등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중요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6.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

서버리스 컴퓨팅은 서버 관리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실행 모델입니다. 서버리스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서버 관리를 담당하며, 사용자는 코드 실행 시간에 따라 비용을 지불합니다. 서버리스 컴퓨팅은 서버 관리 부담을 줄이고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많은 개발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7.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접근 방식입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컨테이너, DevOps와 같은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되며, 확장성, 유연성, 안정성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8.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입니다. 기업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통해 각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맞게 퍼블릭 클라우드 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민감한 데이터는 보안성이 높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은 저렴한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운영할 수 있습니다.

9. 멀티 클라우드(Multi-cloud)

멀티 클라우드는 여러 개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은 특정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각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여러 클라우드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 서비스형 플랫폼 (P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하는 데 필요한 플랫폼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서버, 운영체제, 미들웨어 등의 인프라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PaaS는 개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많은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댓글